레이블이 자동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자동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3월 19일 토요일

자동차 배터리 교체 DIY (직접 교체)

배터리를 바꾼지는 얼마되지 않으나, 울 아내가 완전 방전을 몇번 했더니 수명이 확 줄어든 것 같다. 특히 이번 한파에 완번 방전을 3번이나 했더니 배터리 파워가 확 줄어들었다.
엔진 스타트를 할 때 힘없이 스타트 모터가 돌아가는게 느껴진다.
예전에 울 회사의 동료가 쏘렌토의 배터리를 직접 교체했다고 말해준 기억이 나서 나도 직접 해보리로 했다. DIY 도전~~

우선 내 차에 맞는 배터리 부터 찾아야했다.
방금 지하주차장에 가서 보닛을 열고,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보았다.
   현대모비스  12V 90AH  RC  165MIN  CCA 750A
라고 스펙이 쓰여있다.

내가 배터리 교체 작업을 하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까 이미 누군가가 정리를 잘 해놓았다.

우선 확인할 사항은
    • 배터리 단자 위치 : (+) 극이 Left인지, Right인지 확인해야 한다.
      • 배터리 모델명에 쓰이는 L/R의 구분은 배터리를 정면으로 놓고 봤을때 +단자가 오른쪽에 있으면 R이 붙은 모델을 +단자가 왼쪽에 있으면 L이 붙은 모델을 선택하면 된다. 
      • 싼타페는 L(Left)이다.
    • 용량 : 내 차는 90AH
    • 전압 : 자가용이라면 12V
    • 크기 : 가로/세로/높이의 크기도 중요하다. 크기가 맞아야 배터리 하우스에 들어간다.




내가 직접 배터리를 교체하면서 시간을 재보니까 총 5분도 안 걸렸다.
자동차 정비소(공업사)는 5분의 정비 시간에 대해서 4~5만원 정도의 정비 공임을 받는 셈이다.

나는 배터리 제품값, 배송료, 폐배터리 처리비용을 모두 합쳐서 6만 7천원이 들었다.
정비소에 가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보다 대략 4만원 정도 적게 들었다. ^^

그리고 배터리가 너무 무거울까 걱정하는 분이 있다면, 걱정 안 해도 된다.
나는 작은 체구에 체중도 평균 이하인데, 배터리를 들고 작업하는 것이 힘들지 않았다.
(참고로, 나의 직업은 프로그래머임. 육제 노동과는 거리가 먼 직종 ^^)

일단 해보시라~
자동차 배터리와 타이어, 전구 정도는 직접 교체할 줄 알아야 위급한 상황에서도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자전거 라이딩 후기

2011년 3월 18일 금요일  (서초동 - 여의도 - 평촌)

어제는 회사 자전거 동호회 정기 모임이 있는 날이다.
날씨가 아직 쌀쌀하여 코스를 짧게 잡았다. 아래 지도가 어제 내가 달린 코스다.
총 40km가 조금 넘는 거리다.


회사(서초)에서 영등포에 있는 식당(구이야)까지는 40분 정도 걸렸다. 코스가 짧은 만큼 속도를 최대한 줄여서 달렸다. 그리고 2011년 첫 라이딩이기 때문에 무리하면 안 된다는 생각도 있었다.
아래 사진은 구이야에서 찍은 것이다.


왼쪽에 보이는 키크고 잘생긴 남자가 진서 대리이다. 그리고 오른쪽에 반쯤만 나온 인물은 영민이 같군.


반찬이 거창하게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깔끔하다.
그리고 가격도 서초동에서 먹는 것보다는 10~20% 정도 싼 것 같다. 대신 고기는 호주에서 오는 것 같다. 국내산인 메뉴와 수입산인 메뉴가 분리되어 있고, 종업원이 친절하게 알려준다.

위는 먹다가 중간에 찍었는데, 아름 대리와 명오 대리의 신체 일부분만 나왔네 ^^


위 사진과 같이 참으로 정갈하게 정리되어 식탁으로 실려 온다 ^^





이 음식점의 특징은 볏짚(지푸라기)로 초벌구이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종업원이 한국인 같다. 이런 류의 삼겹살 식당에는 대부분 중국의 조선족이 많은데, 이 식당은 한국인 종업원이 주문을 받고 음식을 가져다 준다.

우리가 서초동에서부터 원정 온 것을 아는 식당 주인께서 다음에도 꼭 찾아와 달라고 당부한다. 그럭저럭 서초동의 식당들보다는 맛도 좋고, 주문받고 음식 내오는 서비스도 깔끔하여 다음에 또 가게 될 것 같다. ^^

식당에서 집에 오는 길은 꽤 길게 느껴졌다. 해가 떨어진 다음에 달리니까 춥다.
게다가 3개월간 안 타다가 타려니까 다리 근육도 풀렸다. 결국 집에 도착해서 수면제를 먹은 것처럼 바로 꿈나라로 갔다 ^^
나이를 한살 더 먹으니까 체력이 더 떨어진 것도 느껴진다. ㅋㅋ

쉐보레 올란도 (Chevrolet Orlando) 시승기 동영상

내가 싼타페를 구입할 당시만 해도 아이가 두명이었다.
싼타페 정도면 아주 넉넉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2년 전에 셋째를 출산한 뒤로는 싼타페가 좁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싼타페는 교통법에 따르면 "7인승" 차량이다. 실제 내 차는 7개의 좌석이 있다.
그러나 마지막 3열의 2개 좌석은 사람을 태우기 참 곤란하게 생겼다.
그래서 실제로는 5명 정도가 앉을 수 있다. 그것도 4명 성인 + 1명 아동이라는 가정이 있어야 한다.
승차인원이 그 이상이 되면, 불편하게 운행을 해야 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연스럽게 진정한 7인승 차량에 눈이 돌아가게 된다.
이번에 출시된 쉐보레 올란도(Chevrolet Orlando)가 형식적인 7인승이 아닌 실제로 7명이 탈 수 있는 7인승 가족차량이라는 점에서 아주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아직 3세대 싼타페(싼타페 후속 모델)가 출시되기 전이라서 지금 섣부르게 쉐보레 올란도를 선택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렇다면 3세대 싼타페(싼타페 후속)은 언제 나올까?
작년 여름에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 있는 친구에게 물어보았을 때, 이미 싼타페 후속 모델은 작년 상반기에 Drop되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즉, 2010년에 다시 싼타페 후속 모델 개발을 위해 프로젝트를 개시했다는 얘기같다. (표현이 모호해서 나도 정확히 모르겠다. 아무튼 싼타페 후속 모델이 스파이샷으로 돌거나 출시되기 까지는... 내 예상에 3년은 더 기다려야 할 것 같다)

비록 세명이지만, 우리 아이들이 아직 어리니까 2~3년간은 싼타페로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2~3년 뒤에는 진정한 패밀리카를 선정해야 한다. 그래서 올란도를 후보군에 올려보았다.
아래 시승동영상을 보니까 평가가 좋다. 나도 좋은 평가를 주고 싶다.
차량 크기게 비해 연비가 높고, 조용하고, 서스펜션도 단단(Hard)하고, 실내 공간이 아주 넉넉하다.
게다가 차량 가격이 타사의 모델들 보다 많이 저렴하다. 내구품질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니 가격 때문에 내구품질까지 낮아졌는지도 모르겠다. 이것은 향후 2년 정도 더 지켜봐야 정확한 판단이 설 것 같다.
올란도를 구매한 소비자들이 이 부분을 냉정하게 평가해주기를 바란다. ^^

그럼 나처럼 동영상에 관심있는 분은 아래 스크랩된 영상을 보세요 ^^


김진표씨의 시승기 및 인터뷰 (고화질)


외국인의 시승기 (고화질)

2011년 3월 4일 금요일

싼타페 (Santafe) 진흙길 눈길 통과하기

내 차로도 한번 해봐야겠다. ^^
















스포티지R (Sportage R) Review 리뷰 동영상

스포티지R (Sportage R) Review 리뷰 동영상

Hummer H3 vs Touareg

Hummer H3는 너무나 갖고 싶은 차이다. 단단해 보이고, 험한 산에 가도 거뜬히 주파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





Touareg과 비교하기 위해 같이 영상을 올려 본다. (2011 VW Touareg)




First Look At The All New 2011 Jeep Wrangler Rubicon

요즘은 Jeep Wrangler Rubicon가 자꾸 눈에 들어온다.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도 Rubicon이 2대 있는데,
이 차의 주인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진다. ㅎㅎ





Hyundai i40 - Geneva Motorshow 2011

Hyundai i40 - Geneva Motorshow 2011